'수학사'에 해당되는 글 3건

학교 교우회보에 실은 글입니다.
------

고려대학교 한적실(漢籍室)이 있는 대학원도서관 건물은 1952년도에 문과대학이 문리과대학으로 개편되었을 때 현재 이과대학 수학과와 물리학과의 전신인 수물학과가 처음 자리잡았던 곳이다. 이 건물 2층에 단촐한 사무실을 가지고 있는 한적실은 별로 찾는 사람이 많지 않지만 고려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한문으로 된 옛 서적들을 관리하는 중요한 곳이다. 사무실은 자그마해도 그 맞은편 좁은 회랑을 따라 들어가면 자물쇠가 걸려 있는 큰 도서실 두 개가 나온다. 이 안에 들어서면 다른 도서관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광경이 펼쳐진다.

근래 멋있게 변모된 우리 캠퍼스나, 최신 시설을 자랑하는 우리 도서관들과는 조금 거리가 있다. 환기가 잘 안 되어 먼지 냄새가 나고 조명 시설도 잘 되어 있지 않아 어두컴컴하지만 이곳에 붙어 있는 팻말들을 보면 이과 전공인 나도 잘 알고 있는 옛사람들의 장서가 여기 모여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충 보아도 몇 만 권인지 알 수 없지만 조선시대 학자들이 쓰고 모으고 공부하였던 오래 된 책들로 고려대학교에 기증된 듯싶은 책들이 서가마다 가득 가득 들어차 있다.

나는 2년 전쯤 고려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산학원본(算學原本)이라는 책을 찾기 위하여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한적실을 처음 찾았다. 산학원본은 17세기에 은산(殷山) 군수를 지낸 박율(朴繘)이 지은 산학(지금의 수학)책으로 18세기에 황윤석이 편집한 이수신편 23권에 산학본원이란 이름으로 들어 있다. 2년전 까지도 산학본원의 원전인 산학원본은 실전되었다고 알려져 있었다. 따라서 고려대학교 도서관에서 산학원본을 발견한 것은 매우 중요한 사건이 될 수밖에 없었다.

박율은 이 책을 통하여 13세기에 중국 수학이 전성기를 이룰 때 쓰여진 주세걸(朱世傑)의 산학계몽을 제대로 공부할 수 있도록 수학의 입문에서 어려운 계산법까지를 설명하였다. 많은 학자들이 단순히 유명한 책을 그대로 옮기며 해설을 붙이는 것과는 달리, 그는 산학계몽의 내용을 이해하고 정리하여, 산학에 필요한 기본 계산법으로 구고술(句股術)이라 부르는 피타고라스 정리와, 원과 관련된 공식, 그리고 천원술(天元術)이라 불리는 다항방정식의 해법, 등을 추리고, 이로써 당시 알려진 수학을 모두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을 보고 알게 된 놀라운 사실은 이 책을 저술한 시기가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서양수학책인 수리정온보다 수십 년 앞섰으면서도 천편일률적인 중국 수학의 방법을 지양하고 통일된 관점에서 여러 계산법을 설명하고 있다는 것이다. 박율이 17세기 중엽 사람이라고 생각할 수 없을 만큼 현대적인 사고를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오히려 19세기에 서양수학을 접했던 학자들보다도 훨씬 더 진보된 관점으로 현대수학의 핵심인 개념화와 구조화를 보여주는 책을 썼음을 알 수 있다.

산학원본 서문을 보니 조선 중기에 인조반정의 공신인 최명길의 손자로 여덟 차례 영의정을 지냈으며 스스로도 산학책을 저술한 최석정이 서문을 썼다. 이조시대의 수학은 주로 중인집안에서 배출되는 산학자들이 담당했었다. 그러나 옛 산학책 가운데 많은 것들을 양반 유학자들이 썼다는 사실은 놀랍다. 박율, 최석정은 물론 영의정을 지낸 조태구, 판서를 지낸 남병철, 남병길 형제, 유명한 유학자인 황윤석, 홍대용, 배상설, 조희순 등 많은 유학자들은 산학에서도 당대 최고 수준에 이르러 있었다. 조선이 많은 어려움을 뚫고 500년의 역사를 자랑할 수 있게 된 데는 그 중심인물들 스스로 경학과 함께 실용과학인 산학을 게을리하지 않았던 것이 큰 역할을 하였으리라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이런 놀라운 사실을 한적실 한 모퉁이의 낡은 책 하나가 보여주고 있었다.
블로그 이미지

그로몹

운영자의 개인적 생각을 모아 두는 곳입니다.

,

Leibniz의 Variational Principle

Juergen Jost의 강의록 Harmonic maps between Riemannian Manifolds의 첫 section에 있는 글을 옮깁니다.
----

A Short History of Variational Principles

Among the first person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variational problems and the physical significance of their solutions was G. W. Leibniz (1646-1716). In his work, however, mathematical and physical reasoning was closely interwoven with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arguments. One of the aims of his philosopy was to solve the problem of theodizee, i.e. to reconcile the evil in the world with God's goodness and almightiness.
Leibniz' answer was that God has chosen from the innumerable possible worlds the best possible, but that a perfect world is not possible. (This infinite multitude can only be conceived by an infinite understanding, which provided a proof of the existence of God for Leibniz.)
This best possible world is distinguished by a pre-established harmony between itself, the realm of nature, on one hand and the heavenly realm of grace and freedom on the other hand. Through this the effective causes unite with the purposive causes. Thus bodies move due to their own interal laws in accordance with the thoughts and desires of the soul.
In this way,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predetermination of the physical world following strict laws and the constantly experienced spontaneity and freedom of the individual is removed. The best possible world must here obey specific laws since an ordered world is better than a chaotic one.
This proves therefore the necessity of the existence of natural laws.
The contents of the natural laws, however are not completely determined as is the case for geometric laws but are only determined in a moral sense, since they must satisfy the criteria of beauty and simplicity in the best of all possible worlds. This leads Leibniz even to variational principles. This is because if a physical process did not yield an extreme value, a maximum or minimum, for a particular energy or action integral, the world could be improved and would therefore not be the best possible one.
Conversely, Leibniz also uses the beauty and simplicity of natural naws as evidence for his thesis of preestablished harmony. (The notion that we live int the best possible world was frequently rejected and even ridiculed by subsequent critics, in particular Voltaire, on account of the apparent flaws of this world, but Leibniz' point that a perfectly good world is not possible was beyond reach of these arguments.)

Leibniz, however, did not elaborate his argument concerning variational principles in his publications, but only in a private letter. Thus, it happened that a principle of least (and not only stationary) action was later rediscovered by Maupertuis (1698-1759), without knowing of Leibniz' idea.
When S. Koenig (1712-1757) then claimed priority for Leibniz on account of his letter that he was not able to show however to the Prussian Academy of Sciences (whose president was Maupertuis) this led to one of the most famous priority controversies in scientific history in which even Voltaire, Euler, and Frederick the Great became involved.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Maupertuis' principle of least action should be replaced by a principle of stationary action since physical equilibria need only be stationary points but not necessarily minima of variational problems.



블로그 이미지

그로몹

운영자의 개인적 생각을 모아 두는 곳입니다.

,

산학원본 개요

  • 算學原本은 양휘산법과 算學啓蒙의 계산법을 풀어 설명한 책이다.
  • 조선시대에 朴繘박율이 편찬하였으며 그의 아들 朴斗世가 간행(1700)하였다. 17세기 算書.
    • 朴繘(1621~?):본관 蔚山, 자 子明, 호 梧里. 은산 현감, 장령
    • 朴斗世 (1650~1733): 牧使, 中樞府知事. 要路院夜話記요로원야화기
    • 崔錫鼎 (1646~1715): 序文. 최명길(崔鳴吉)의 손자, 이조참판, 한성부판윤, 이조판서. 산서 九數略 저술.

최석정의 서문의 의미

최석정이 산학원본의 서문을 쓴 것은 지금 우리가 보기에는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박두세가 최석정에게 서문을 부탁한 것은 잘 아는 높은 사람에게 서문을 부탁한 것이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그 서문을 쓴 최석정은 서문을 쓸 만큼 수학에 대하여 해박한 사람으로 적절한 선택이었다고 할 수 있다.

최석정은 당대 이조판서를 지낸 조선 정치 및 정부의 중심인물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그러한 그가 산학을 공부하였으며 산서 구수략을 집필한 것은 당시의 사대부는 물론 정부의 핵심인물의 하나가 당대의 수학자와 버금가는 수학적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단순히 수가 6예의 하나라서가 아니라 정치를 제대로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방법가운데 하나임을 알고 있었다고 할 수 밖에 없다. (아니라면 정치에 바쁜 사람이 어찌 계속해서 산학자와 교류하고 산학을 공부하고 산학책을 저술하고 있었겠는가?)

이러한 사실은 우리에게 중요한 사실을 가르쳐 준다. 작금의 정부 관료와 정치가들 스스로는 수학이나 과학적 방법에 관심을 가지지 않고 있다. 조선 시대의 정치가 많은 잘못을 하였던 것 처럼 비판하지만 우리는 조선시대의 정치가나 관료 만큼도 과학적 방법론을 공부하고 사용하지 않고 있다고 보인다. 현재의 우리나라 정치나 국정 운영이 조선시대 보다도 못하다고 보이는 것도 이유가 있다고 생각된다.


崔錫鼎최석정의 서문


數於六蓺, 居其一, 君子屑用心焉.
6예에서 수는 그 중 하나를 차지한다. 군자가 달갑게 그에 마음을 써 왔다.

我東處僻, 業筭者, 率握齱無所識知儒學又靡暇, 余嘗病之.
우리 동방은 궁벽한데 처하여서, 산수를 업으로 하는 자는 대부분 작은 것을 붙잡아 지식이 없고, 유학자는 또 겨를이 없으니 내가 일찍이 그것을 안타깝게 여겼다.

從朴牧使斗世氏, 得其先大夫所著筭學原本一書, 而觀之儘數家之閫奧也.
목사 박두세로부터, 그 아버지가 지은 산학원본 일서를 얻어, 그것을 보니, 수가의 깊은 경지를 다한 것이었다.

盖數家以之分爲要妙. 之者, 子數也, 分者, 母數也.
대개 수가는 之分으로써 오묘함을 삼는데, 지는 자수이고 분은 모수이다.

九章列之, 分於諸篇之首,
구장은 그것을 펼쳐서 제편의 앞머리에 나누어 놓았다.

而古人以爲用筭之喉襟, 或以爲開筭之戶牖.
옛사람들은 산수의 사용에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했고, 혹은 산수를 시작하는 문이라고 생각했다.

其法誠有難解者至於開方一門,
그 법에서 진실로 난해한 것은 개방 일문에 이르러서 이다.

松庭朱世傑立天元號爲最深.
송정 주세걸의 입천원은 가장 깊은 것으로 불린다.

而今此書, 於九章諸篇, 發其通分會極之妙.
그런데 지금 이 책은 구장 제편에서 통분 회극의 묘함을 드러낸다.

立天元一法, 亦探朱氏之所未闡, 而指次甚詳.
입천원 일법도 주씨가 미처 드러내지 못한 바를 탐구했고, 순서(次)를 드러낸 것도 매우 자세했다.

揚子所云, “纖者入無倫.” 殆是之謂矣.
양자가 말한바 “자세한 점이 비교할 곳이 없을 정도이다.”라는 말은 거의 이것을 가리킨 것이라 하겠다.

余少時, 訪任郡守濬氏. 論及九數,
내가 젊었을 때 군수 임준씨를 방문하여, 구수에 대하여 논급했다.

其言頗精深, 今又見此書, 得以豁其蒙蔽, 庸非淺見之幸歟?
그 말이 매우 정심하였는데, 지금 또 이 책을 보니 나의 어리석음을 탁 트이게 해 주니, 어찌 천견의 다행함이 아니겠는가?

朴丈, 邃於經學, 旁通曆象, 惜其名位之未大顯也.
박장은 경학에 깊고, 역상에 널리 통하여, 그 명성이 크게 드러나지 못한 것이 안타깝다.

牧使君以才業世其家, 方宰晉陽, 謀入梓, 廣其傳. 余爲之, 精加校訂, 俾游蓺者, 有以沿求云.
목사군이 재업으로 그 집안의 대를 이어, 바야흐로 진양에서 수령을 하니, 판각하여 그것을 널리 전하기를 꾀하니, 내가 그를 위하여 교정을 자세히 하고, 유예자(수학을 즐겨 공부하는 사람)로 하여금 찾아 구함이 있게 하려 한다.

歲庚辰孟秋完山崔錫鼎汝和甫序
때는 경진년(1700년) 맹추(음7월) 완산 최석정 여화 서문을 쓰다.
블로그 이미지

그로몹

운영자의 개인적 생각을 모아 두는 곳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