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신문에 서울대 사학과 3개 (국사, 동양사, 서양사)가 통폐합해서 사학부로 된다는 뉴스가 나왔다. 이와 함께 1950년대 말에 (어떤 학과는 1940년대에) 여러 학과로 갈라졌다가 근래에 들어서 다시 하나로 합친 학과들의 역사도 도표로 나왔다.
우리가 대학을 다닐 당시는 모든 학과가 분리되어 있었다. 예를 들면 2000년대 들어서도 고려대에는 전기, 전자, 전파 등이 유사학과이면서 나뉘어 있었다. 사회적 필요나 여러 여건상 학과가 나뉘기도 하고 합쳐지기도 한다. 단지 나뉘기는 쉽고 합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람 사는 세상인 점은 어디나 마찬가지이다.
글을 쓰게 된 이유는 이 기사 맨 마지막에 실린 서울대 어느 관계자의 커멘트인데 애초에 분리된 이유가 "전공 교수들 사이의 갈등과 주도권 다툼" 때문이라고 하고 이 교수들이 은퇴하면서 합할 수 있는 여건이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위의 나누기 쉽고 합하기 어려운 데에 이러한 갈등이 항상 존재한다는 것은 맞다. 그러나 실제로 학과가 나뉠 때의 상황에는 다른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생물학과 3과가 생겨날 당시 학과 안에서는 많은 갈등이 있었을 것이다. 직접 보지도 못하고 전공도 문외한이므로 자세한 것은 알 길이 없으나 이리 저리 따져보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작용했을 것이다.
- 세 가지 전공, 동물, 식물, 미생물이 서로 다른 것에 중점을 두기 시작했다.
- 동물학과 식물학은 이미 낡은 것이지만 대부분의 교수가 이것을 전공하고 있는데 갑자기 미생물학 중심의 학과로 변모시키려고 하면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아마 대안이 없었을 것)
- 생물학은 그 크기가 자꾸 커지는 중의 학과였는데 대학은 학과의 교수 정원이 학생수에 비례해서 정해져 있다. (학교는 이런 것을 개선하지 않음)
이 가운데 1, 2번은 같은 맥락의 이야기이고 이러한 일이 있으면 없던 갈등도 생긴다. 그러니까 교수 사이의 갈등은 이런 상황이 야기한 부분이 크고 학교는 이를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는데 당시는 그런 능력은 전무했다고 보인다. 한편 3번 문제는 매우 중요한 문제였는데 학교 당국은 이런 것을 개선할 의지가 없었다. 당시 문교부의 정책이 학생 일인당 교수수라는 지표 하나만 떠받들고 있었으니까 모든 학과에 이 지표를 적용하면서 어느 학과의 교수수를 파격적으로 늘려줄 생각은 안하고 못하고 있었다.
그러니까 위의 관계자 말이 틀린말은 아니지만 자칫 잘못하면 당시 교수들을 매도할 수 있는 발언이다. 실제로 당시에 우리가 느끼던 것은 갈등도 많이 있었지만 될 수 있으면 학과를 늘리는 배경에는 학과를 분리하면 교수를 두 배로 뽑을 수 있는 것이 중요했다. 덤으로 학과장 자리도 두 개가 생기고 대학 안에서 그 전공의 목소리도 두 배로 커진다. 아마 이 상황을 생각하면 교수의 갈등 보다 학과의 정원이 제한돼 있는 상황이 더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미국 대학들의 생물학부가 교수 200명이었던 1980년대의 상황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수학과는 보통 60-100명. 서울대 같은 대규모 공립 대학의 예이다.) 이런 붐을 타고 천문기상학과는 천문학과와 기상학과가 됐고 여러 학과들이 분리되어 나갔었다.
상황이 변하여 학과의 크기가 커질 수 있게 되고 각 학과 교수들의 전공이 변하고 나니 분리할 요인이 모두 사라져서 합하는 것이 더 이익에 맞는 상황이 된 것이다. 이런 통합이 필요한 곳이지만 상황이 아직 맞지 않는 것이 교육학 학과들이다. 수학과와 수학교육과는 합하여 외국처럼 운영하여야 한다는 생각은 1970년대부터 존재했다. (실제로 1975년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로 이전할 때 두 학과는 같은 건물 안에 배치되었었다.) 하지만 교원 자격을 사범대학 졸업자에 한정하면서 이 두 과가 합할 수 없게 하는 힘으로 작용해왔다. 학교 관계자라면 이런 문제를 언급하는 것이 옮을 것이고, 자기 학교 교수들의 갈등이 전부인양 이야기하는 것은 상황을 호도하는 잘못된 생각이라고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