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서(算書)'에 해당되는 글 1건

산학원본 개요

  • 算學原本은 양휘산법과 算學啓蒙의 계산법을 풀어 설명한 책이다.
  • 조선시대에 朴繘박율이 편찬하였으며 그의 아들 朴斗世가 간행(1700)하였다. 17세기 算書.
    • 朴繘(1621~?):본관 蔚山, 자 子明, 호 梧里. 은산 현감, 장령
    • 朴斗世 (1650~1733): 牧使, 中樞府知事. 要路院夜話記요로원야화기
    • 崔錫鼎 (1646~1715): 序文. 최명길(崔鳴吉)의 손자, 이조참판, 한성부판윤, 이조판서. 산서 九數略 저술.

최석정의 서문의 의미

최석정이 산학원본의 서문을 쓴 것은 지금 우리가 보기에는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박두세가 최석정에게 서문을 부탁한 것은 잘 아는 높은 사람에게 서문을 부탁한 것이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그 서문을 쓴 최석정은 서문을 쓸 만큼 수학에 대하여 해박한 사람으로 적절한 선택이었다고 할 수 있다.

최석정은 당대 이조판서를 지낸 조선 정치 및 정부의 중심인물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그러한 그가 산학을 공부하였으며 산서 구수략을 집필한 것은 당시의 사대부는 물론 정부의 핵심인물의 하나가 당대의 수학자와 버금가는 수학적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단순히 수가 6예의 하나라서가 아니라 정치를 제대로 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방법가운데 하나임을 알고 있었다고 할 수 밖에 없다. (아니라면 정치에 바쁜 사람이 어찌 계속해서 산학자와 교류하고 산학을 공부하고 산학책을 저술하고 있었겠는가?)

이러한 사실은 우리에게 중요한 사실을 가르쳐 준다. 작금의 정부 관료와 정치가들 스스로는 수학이나 과학적 방법에 관심을 가지지 않고 있다. 조선 시대의 정치가 많은 잘못을 하였던 것 처럼 비판하지만 우리는 조선시대의 정치가나 관료 만큼도 과학적 방법론을 공부하고 사용하지 않고 있다고 보인다. 현재의 우리나라 정치나 국정 운영이 조선시대 보다도 못하다고 보이는 것도 이유가 있다고 생각된다.


崔錫鼎최석정의 서문


數於六蓺, 居其一, 君子屑用心焉.
6예에서 수는 그 중 하나를 차지한다. 군자가 달갑게 그에 마음을 써 왔다.

我東處僻, 業筭者, 率握齱無所識知儒學又靡暇, 余嘗病之.
우리 동방은 궁벽한데 처하여서, 산수를 업으로 하는 자는 대부분 작은 것을 붙잡아 지식이 없고, 유학자는 또 겨를이 없으니 내가 일찍이 그것을 안타깝게 여겼다.

從朴牧使斗世氏, 得其先大夫所著筭學原本一書, 而觀之儘數家之閫奧也.
목사 박두세로부터, 그 아버지가 지은 산학원본 일서를 얻어, 그것을 보니, 수가의 깊은 경지를 다한 것이었다.

盖數家以之分爲要妙. 之者, 子數也, 分者, 母數也.
대개 수가는 之分으로써 오묘함을 삼는데, 지는 자수이고 분은 모수이다.

九章列之, 分於諸篇之首,
구장은 그것을 펼쳐서 제편의 앞머리에 나누어 놓았다.

而古人以爲用筭之喉襟, 或以爲開筭之戶牖.
옛사람들은 산수의 사용에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했고, 혹은 산수를 시작하는 문이라고 생각했다.

其法誠有難解者至於開方一門,
그 법에서 진실로 난해한 것은 개방 일문에 이르러서 이다.

松庭朱世傑立天元號爲最深.
송정 주세걸의 입천원은 가장 깊은 것으로 불린다.

而今此書, 於九章諸篇, 發其通分會極之妙.
그런데 지금 이 책은 구장 제편에서 통분 회극의 묘함을 드러낸다.

立天元一法, 亦探朱氏之所未闡, 而指次甚詳.
입천원 일법도 주씨가 미처 드러내지 못한 바를 탐구했고, 순서(次)를 드러낸 것도 매우 자세했다.

揚子所云, “纖者入無倫.” 殆是之謂矣.
양자가 말한바 “자세한 점이 비교할 곳이 없을 정도이다.”라는 말은 거의 이것을 가리킨 것이라 하겠다.

余少時, 訪任郡守濬氏. 論及九數,
내가 젊었을 때 군수 임준씨를 방문하여, 구수에 대하여 논급했다.

其言頗精深, 今又見此書, 得以豁其蒙蔽, 庸非淺見之幸歟?
그 말이 매우 정심하였는데, 지금 또 이 책을 보니 나의 어리석음을 탁 트이게 해 주니, 어찌 천견의 다행함이 아니겠는가?

朴丈, 邃於經學, 旁通曆象, 惜其名位之未大顯也.
박장은 경학에 깊고, 역상에 널리 통하여, 그 명성이 크게 드러나지 못한 것이 안타깝다.

牧使君以才業世其家, 方宰晉陽, 謀入梓, 廣其傳. 余爲之, 精加校訂, 俾游蓺者, 有以沿求云.
목사군이 재업으로 그 집안의 대를 이어, 바야흐로 진양에서 수령을 하니, 판각하여 그것을 널리 전하기를 꾀하니, 내가 그를 위하여 교정을 자세히 하고, 유예자(수학을 즐겨 공부하는 사람)로 하여금 찾아 구함이 있게 하려 한다.

歲庚辰孟秋完山崔錫鼎汝和甫序
때는 경진년(1700년) 맹추(음7월) 완산 최석정 여화 서문을 쓰다.
블로그 이미지

그로몹

운영자의 개인적 생각을 모아 두는 곳입니다.

,